읽어보면 안다 | 링티 건강 상식

한랭질환 조치 및 예방법 | 겨울 온도 낮아지고 추위 찾아올 때 조심해야 하는 겨울질환! 저체온증, 동창, 동상, 침수병·침족병까지

링티(lingtea) 2023. 12. 1. 17:00

※본 콘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 및 효과에 대한

내용이 아닌, 일반적인 건강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겨울철 한랭질환, 겨울질환

최근 본격적인 한파가 시작되면서 겨울철 추위가 심해지고 있습니다.

 

한파는 저온의 한랭 전선이 위도가 낮은 지역으로 이동하여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파와 같은 추위에 장시간 노출되면 저체온증, 동상, 동창과 같은 한랭질환의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

지난 10년 간(2010~2019) 한랭질환으로 사망한 환자 수는 연평균 약 218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듯 겨울철 한파로 인한 한랭질환은 인명피해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질환에 대한 적절한 조치법을 알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랭질환이란? 한랭질환 종류는?

 

한랭질환이란 강한 추위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입니다. 저체온증, 동창, 동상, 침수병 및 침족병이 대표적입니다.

 

 
겨울, 추위, 한랭질환, 겨울한파, 겨울기온

저체온증

한파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신체는 열을 만드는 속도보다 열을 잃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데요, 이로 인해 몸의 *중심 체온(심부체온)이 정상 체온을 유지하지 못하고 35도 미만으로 내려간 상태를 저체온증이라고 합니다.

*중심(심부) 체온: 신체 내부의 장기나 근육의 체온으로, 주로 식도나 직장 체온을 측정함

 

저체온증 초기(체온 32 ~ 35℃)에는 몸 전체, 특히 팔과 다리에서 심한 떨림이 나타납니다. 기온이 더 낮아지면(체온 28~32℃) 몸 떨림이 줄어들고 움직임이 둔해지며, 기억력과 판단력이 저하되고 말이 어눌해 집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점차 의식이 흐려지며, 심할 경우에는(체온 28℃ 미만) 의식을 잃을 수 있습니다.

 

 

겨울, 추위, 동상, 겨울동상, 손가락동상, 동창, 동상증상

동창

다습하고 가벼운 추위(0~10℃)에 노출되어 말초 혈류장애로 인해 피부와 피하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손가락과 발가락, 발바닥, 코, 귀 등에서 발생합니다. 증상은 가려움, 작열감, 통증이 나타나며 붉거나 보라색의 부종, 물집이나 농포, 궤양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상, 동창, 손가락동상, 동창, 동상증상, 동상통증

동상

추위로 인해 피부 및 피하조직이 얼어붙어 손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동창에서 더 악화될 경우, 동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영하 2도 이하의 낮은 기온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동창과 유사하게 코, 귀, 뺨, 턱, 손가락, 발가락에 증상이 발생합니다.

 

동상 초기에는 피부 따끔거림, 저린 느낌,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이 악화되면 피부색이 점차 흰색이나 누런 회색으로 변하고 피부가 단단해지며, 감각 저하와 무감각이 나타나고, 수포와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손상된 부위를 절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겨울동상, 침수병, 침족병, 눈, 한파

침수병·침족병

10도 이하의 차가운 물 속이나 습하고 낮은 온도의 환경에 손이나 발이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눈이나 물에 젖은 신발을 장시간 신고 있을 때 걸리기 쉽습니다. 증상은 피부가 차갑고 축축해지며, 점차 무감각해지고, 붓거나 물집이 생기기도 합니다.

 

 

 

한랭질환 발생 시, 빠르게 시행할 수 있는 조치법
 

한랭질환의 경우, 신속한 병원 진료가 가장 중요하지만, 즉각적인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다음의 조치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저체온증: 가능한 한 빠르게 따뜻한 장소로 이동하고, 젖은 옷을 벗고 담요로 몸을 감싸야 합니다.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는 알코올을 제외한 따뜻한 음료나 단 음식을 섭취하게 합니다.

 

동창: 언 부위를 따뜻하게 하고 가벼운 마사지로 혈액순환을 유도하며, 해당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보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상: 신속히 따뜻한 장소로 이동하고, 동상 부위를 37~39℃ 정도의 따뜻한 물에 담근 상태로 약 30분 간 유지합니다. 또한 동상 부위를 약간 높은 위치에 두면 부종과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침수병·침족병: 젖은 신발이나 양말을 벗고, 손상된 부위를 따뜻한 물에 씻은 후, 건조합니다.

 

 

 

한랭질환, 예방과 관리는? 따뜻한 옷·물·장소!
한랭질환, 겨울, 겨울온도, 보온

실내에서는 가벼운 운동과 충분한 수분 섭취, 적절한 영양 섭취로 올바른 생활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내 온도는 18~20℃, 습도는 40~60%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온도, 겨울외출, 겨울한파, 겨울동상

 

외출 전 날씨를 미리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야외 활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출 시에는 여러 겹의 얇은 옷과 장갑, 목도리, 모자, 마스크와 같은 방한용품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옷이나 신발이 젖었을 때는 즉시 마른 옷이나 신발로 교체해야 합니다. 추운 환경이나 장소에서는 몸을 자주 움직여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실외에서 작업할 때는 머리와 목을 따뜻하게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머리와 목은 신체에서 열이 가장 빨리 빠져나가는 부위이므로 보온에 특별히 신경 써야 합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