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어보면 안다 | 링티 건강 상식

겨울철 식중독, 영하 20도에도 살아남는 노로바이러스

링티(lingtea) 2023. 11. 3. 17:00

※본 콘텐츠는 특정 제품의 효능 및 효과에 대한

내용이 아닌, 일반적인 건강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여름에 흔히 발생하는 일반적인 식중독과는 달리,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20도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강한 생존력을 가진 대표적인 겨울철 식중독 바이러스입니다. 또한 단 10개의 입자로도 감염될 수 있을 만큼 높은 전염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겨울에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개인위생 관리가 소홀해지고 실내 활동도 증가하기 때문에 노로바이러스 감염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노로바이러스 원인, 어떻게 전염되고 감염될까?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했을 때 감염되는 *수인성 식품 매개 질환으로, 다양한 접촉 경로를 통해 감염됩니다. 국내에서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시설, 학교 등 단체생활을 하는 장소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주요 전파 경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오염된 식품이나 물을 섭취할 경우:

익히지 않은 생선, 굴, 조개 등과 같은 수산물이나 오염된 식품 및 식수를 섭취할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2. 감염 환자와 접촉할 경우:

감염된 환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거나 환자의 분비물(구토물 및 분변 등)이 노출된 공간에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환자가 만진 수도꼭지, 문고리 등을 접촉한 뒤 그 손으로 입을 만지거나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에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수인성 식품 매개 질환: 병원성 미생물(바이러스) 또는 독성물질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 섭취로 인하여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질환

 

 

설사, 구토, 탈수까지··· 노로바이러스 주요 증상은?

 

노로바이러스는 소장과 대장에서 증식해 장 점막에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합니다. 평균 12~48시간의 잠복기 이후 오한,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이며, 발열과 근육통은 독감 증상과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1~3일 후에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호전되지만, 영유아나 고령층,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서는 4~6일 동안 지속되기도 하며, 심각한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오염되거나 날 것의 음식은 특히 주의! 노로바이러스의 치료와 예방법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화장실 사용 후, 식사 및 음식 조리 전후에 꼼꼼하게 손을 씻어야 합니다.

 

음식 조리 시에는 조리 도구를 깨끗이 소독한 뒤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개 등 (어)패류는 완전히 익혀 먹고, 채소나 과일은 흐르는 물에 여러 번 씻은 후 섭취해야 합니다. 만약 감염이 의심된다면 증상이 완전히 회복되기 전까지는 음식 조리를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식중독 환자와의 접촉 시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구토물(토사물)을 처리할 때는 반드시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오염된 장소를 청결하게 소독해야 합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대부분은 감염 후 1~3일 후에 회복되지만, 감염으로 인한 구토나 설사 시, 탈수 방지를 위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또한 경구수액을 통해 탈수와 전해질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약학정보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학교병원, 연세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명지병원)